'이태원 참사'가 발생하기 직전, YTN이 촬영한 사고 골목의 모습입니다. <br /> <br />좁다란 골목에 사람들이 빽빽이 들어서 한 걸음 내딛기도 쉽지 않습니다. <br /> <br />상당수 인파는 참사가 난 골목 바로 위, 상점이 늘어선 '세계음식 거리'에서 유입됐습니다. <br /> <br />그런 만큼 '세계 음식 거리'는 이보다 한 참 전인 저녁 8시쯤부터 구름 인파 때문에 제자리걸음을 반복하는 수준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거리 양쪽 건물 가까이에 난 틈을 통해 겨우 통행하는 정도였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다 보니 이미 이때부터 크고 작은 사고가 있었다는 현장 목격담이 잇따랐습니다. <br /> <br />[이태원 거주 시민 (YTN 라디오 '이앤피', 어제) : 넘어지거나 부딪혀서 작은 사고들이 있는 것을 (참사 전) 목격을 많이 했습니다. 지나가는 인파에 쓸려서 몸을 추스르는 분들도 봤고요. 옷이 찢어지는 분들도 봤었습니다.] <br /> <br />밤 9시쯤부턴 인파가 더 불어나 사람들이 한몸처럼 함께 휘청이는 상태가 됐습니다. <br /> <br />바로 아래 골목에서 참사가 나기 전인데 이미 이때 '음식 거리' 한편에선 의식 불명자들에 대한 CPR이 진행되고 있었단 목격담이 나왔습니다. <br /> <br />[현장 목격 시민 : 건물에서 거리를 바라보고 오른쪽이었어요. 4-5명이었던 거 같아요. 누워있고 사람들이 CPR하고 있던 거로 봤어요. (공식 구급대원이었던 건가요?) 아닌 거 같아요.] <br /> <br />참사와 관련해 최초 신고가 들어왔다는 10시 15분 이전부터 사고가 난 골목뿐 아니라 위아래 도로까지 대부분 위급한 상황이었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골목길 참사 이후 사고 지점에서 서쪽으로 130여 미터 떨어진 대로변에서, <br /> <br />그리고 동쪽으로 100여 미터 떨어진 곳에서도 응급 조치가 진행됐습니다. <br /> <br />이에 경찰도 뒤늦게 참사 4시간 전부터 압사 위험 신고가 접수됐었단 사실을 밝히며 미흡한 대응을 인정했지만, 참사 전조가 있었다는 목격담이 사실일 가능성이 커지면서 당국을 향한 책임론은 겉잡을 수 없이 더 커질 거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YTN 송재인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[YTN은 이태원 참사 희생자들의 명복을 빕니다. 아울러 유족들의 슬픔에 깊은 위로를 전합니다.]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34_20221102064142865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